본문 바로가기

공부/코딩

코딩야학 7기 6일차 후기

2020/01/03 - [공부/코딩] - 코딩야학 7기 시작!

2020/01/07 - [공부/코딩] - 코딩야학 7기 2일차 후기

2020/01/07 - [공부/코딩] - 코딩야학 7기 3일차 후기

2020/01/26 - [공부/코딩] - 코딩야학 7기 4일차 후기

2020/01/26 - [공부/코딩] - 코딩야학 7기 5일차 후기

 

6일차

원시웹

몇십년을 거슬러 가 웹의 초기 모습을 본다면 지금의 웹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.

웹이 생긴지는 약 30년 밖에 되지 않았다.

웹이라는 것은 인터넷의 한 기능이다.

(우리도 웹과 동급의 기능을 만들 수 있다. 그것이 흥행할지 말지는 몰라도.)

 

우리는 전자문서를 만드는 방법을 알았다.

다음 수업을 듣고 그것을 전세계에 보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.

인터넷을 여는 열쇠 : 서버와 클라이언트

정보를 요청하는 컴퓨터: 클라이언트(client) 컴퓨터

정보를 응답하는 컴퓨터: 서버(server) 컴퓨터

 

우리는 웹 브라우저(클라이언트)는 자주 쓰고 있어서

아주 잘 알고 있다.

이제는 웹 서버를 알아야 할 차례이다.

 

웹 서버를 이용해서 우리의 컴퓨터에 있는 문서를 전세계에 보여줄 수 있다.

 

1. 웹 서버를 직접 깔아서 한다. (web server)

2. 웹 서버 대행 업체에 맡긴다. (web hosting)

 

직접 설치하긴 어렵지만, 인터넷에 대해 많이 배울 수 있다.

웹 서버 대행 업체에 맡기면 쉽지만, 인터넷에 대한 이해가 떨어질 수 있다.

반응형

'공부 > 코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코딩야학 7기 마지막 후기  (0) 2020.01.28
코딩야학 7기 7일차 후기  (0) 2020.01.28
코딩야학 7기 5일차 후기  (0) 2020.01.26
코딩야학 7기 4일차 후기  (0) 2020.01.26
코딩야학 7기 3일차 후기  (0) 2020.01.07